로버트 그리어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그리어슨은 캐나다 출신의 선교사이자 의사로, 1898년 한국에 파견되어 의료, 교육, 종교 분야에서 헌신했다. 그는 원산과 성진 지역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며 제동병원을 설립하여 의료 시설을 확충하고 한국인 의료 인력 양성에 기여했다. 3.1 운동 당시에는 독립운동을 지원하여 일본 경찰의 조사를 받았으며, 1968년 한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에 거주한 캐나다인 - 제임스 게일
제임스 게일은 캐나다 출신의 선교사이자 교육자, 번역가로, 한국에서 성경 번역, 사전 편찬, 문학 작품 번역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 한국에 거주한 캐나다인 - 로제타 셔우드 홀
로제타 셔우드 홀은 한국 여성 교육과 의료 발전에 헌신한 미국의 의료 선교사이자 교육자로, 볼드윈 진료소 설립, 시각 및 청각 장애인 교육, 조선 여성 의학 훈련원 설립 등의 업적을 남겼다. - 건국훈장 수훈자 -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대한민국 독립유공자는 일제강점기 동안 일제에 항거하여 독립운동에 공헌한 자로서 건국훈장, 건국포장 또는 대통령 표창을 받은 사람을 지칭하며,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로 나뉘어 법률에 따른 예우와 혜택을 받는다. - 건국훈장 수훈자 - 정용기 (1862년)
정용기는 일제강점기 산남의진을 이끌며 일제에 저항한 독립운동가로, 1906년 산남의진 대장으로 활동하다 체포된 후 부친의 뜻에 따라 재차 의병을 일으켜 1907년 입암 전투에서 순국,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고 2005년 이달의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 - 댈하우지 대학교 동문 - 미셸 트뤼도
캐나다 전 총리 피에르 엘리 트뤼도의 막내아들인 미셸 트뤼도는 1998년 백컨트리 스키 중 익사 사고로 사망했으며, 그를 기리는 기념 장미나무가 개발되었다. - 댈하우지 대학교 동문 - 휴 맥레넌
캐나다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휴 맥레넌은 영국계와 프랑스계 캐나다인 관계를 탐구한 작품과 핼리팩스 대폭발을 배경으로 한 작품 등으로 캐나다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총독 문학상을 다섯 차례 수상하고 맥길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저명한 작가들을 양성했다.
로버트 그리어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국어 이름 | 구례선 (具禮善) |
출생 | 1868년 2월 15일 |
출생지 |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 |
사망 | 1965년 5월 8일 |
사망지 |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요크 |
국적 | 캐나다 |
직업 | 의료 선교사 |
생애 | |
교육 | 핼리팩스 의과대학 졸업 |
선교 활동 | 1898년 ~ 1935년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
소속 | 캐나다 장로교회 |
주요 활동 | 성경 번역 선교 의료 활동 교육 사업 |
업적 | 함흥 지역 의료 선교 영생진료소 설립 영생중학교 설립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 | 제임스 스카스 게일 윌리엄 제임스 홀 올리버 에이비슨 에바 필딩 무어 |
2. 생애
로버트 그리어슨은 1868년 2월 15일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에서 존 그리어슨과 메리 페릿(Mary Perret)의 아들로 태어났다.[1][21] 그는 1890년 댈하우지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1893년 파인 힐 신학대학에서 신학 학위를, 1897년 댈하우지 의과대학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다.[2][22] 1898년,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샬럿타운에서 서품을 받았다.[3]
그리어슨이 한국에 오기로 결정한 데에는 윌리엄 맥켄지 (선교사)의 영향이 컸다. 1890년대 초 맥켄지가 소래 마을에서 선교 사업을 돕도록 요청했을 때 그리어슨은 한국에서 일하기를 원했으며,[4] 1895년 맥켄지의 죽음은 캐나다 장로교회가 한국에 선교사를 파견하도록 자금을 지원하는 계기가 되었다.[5] 그리어슨은 1898년 7월 덩컨 맥레이, 윌리엄 푸트와 함께 한국으로 출발하여 같은 해 9월에 도착했다.[6]
3. 한국으로의 소명
3. 1. 초기 활동 (1898-1900)
로버트 그리어슨이 한국에 오기로 결정한 것은 윌리엄 맥켄지의 영향이 컸다. 그리어슨은 1890년대 초 맥켄지가 소래 마을에서 선교 사업을 돕도록 요청했을 때 한국에서 일하기를 열망했다.[4] 1895년 맥켄지의 죽음은 캐나다 장로교회가 한국에 선교사를 파견하도록 자금을 지원하는 계기가 되었고,[5] 그리어슨은 1898년 7월 덩컨 맥레이, 윌리엄 푸트와 함께 한국으로 출발하여 1898년 9월에 도착했다.[6]
1898년 장로교 정부를 가진 선교 협의회에서 미국 장로교 선교 위원회는 원산 지역을 캐나다 선교사들에게 넘겨주었다.[7]
초기에 그리어슨은 공식적인 의료 및 선교 활동에 앞서 언어 교육을 완료하기 위해 환자를 받지 않으려 했다.[6] 그러나 의료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이 많아지자 그는 환자를 돌보기 시작했다. "우리가 임대한 집에 들어가기도 전에 우리는 아픈 사람들에게 포위당했습니다...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가 너무나 처절하고 끈질겨서 거절하는 것이 인간적으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매우 마지못해 학업을 거의 완전히 제쳐두고 의료 및 외과 활동을 시작했습니다."[8] 그리어슨은 또한 2주에서 한 달 동안 시골 지역 사회로 선교 여행을 가서 기본적인 의료 지원을 제공했다.
3. 2. 성진에서의 선교 (1901-1919)
1901년, 그리어슨은 성진으로 이동하여 본격적인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함흥 지역은 케이트 맥밀란 박사가 맡았다.[11] 그리어슨은 성진에서 용정교회를 세우고, 러일 전쟁 이후에는 숭신학교, 보신 남자 중학교, 제동 병원 등을 설립하여 교육 및 의료 사업에 힘썼다.[10][11]
러일 전쟁 중에는 원산으로 피신했다가, 전쟁이 끝난 후 성진으로 돌아와 파괴된 시설을 복구하고 확장했다. 그의 선교 사업은 스코틀랜드 교회 외교 선교 위원회의 재정 위기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6] 1914년, 성진에 현대식 병원(제동 병원)을 짓기 위해 이사회로부터 7000USD를 지원받았다.[13]
3. 2. 1. 의료 선교 활동
그리어슨은 처음에는 언어를 배우는 데 집중하기 위해 의료 활동을 제한했다.[6] 그러나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이 많아지자 그는 환자들을 돌보기 시작했다. 그는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가 너무나 절절하고 끈질겨서 거절하는 것이 인간적이지 않아 보였습니다."라고 말하며, 학업을 거의 포기하고 의료 및 외과 활동을 시작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8] 또한, 그는 2주에서 한 달 동안 시골 마을을 다니며 기본적인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선교 여행을 하기도 했다.
1917년, 그리어슨은 성진 진료소를 제동 병원으로 바꾸어 선교회의 가장 현대적인 의료 시설로 만들었다.[13] 제동 병원에서는 8명의 한국인 의사들이 그리어슨을 도왔는데, 그 중 4명은 보신 남자 중학교 학생이자 성진 지역 YMCA 임원이었다.[11] 제동 병원은 100명 이상의 입원 환자와 1,743명의 외래 환자를 치료했다.[10]
3. 2. 2. 교육 및 기타 활동
그리어슨은 선교 사업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 집과 용정교회를 건설하였다.[10] 그의 아버지 존 그리어슨은 아들의 건물 건설을 돕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 그는 도서관에서 성경과 기독교 소책자를 판매하고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방을 마련했다.[10] 전쟁 후, 그리어슨은 한국인 지주로부터 교회 부지 옆 토지를 구입하여 숭준 교회, 보신 남자 중학교, 성진 진료소를 지었다.[11]
1903년, 그리어슨은 존 그리어슨, 알렉산더 F. 롭과 함께 블라디보스토크로 선교 여행을 떠나 스코틀랜드 성서 공회의 요청에 따라 성경을 전파했다.[10] 1906년, 그리어슨은 번역가이자 그의 한국어 교사였던 홍순국과 함께 용정에 예배당을 세웠다.[14] 1909년, 더 많은 한인이 프리모르스키로 이주하면서 그리어슨은 블라디보스토크를 다시 방문하여 성경 공부반의 교사로 활동했다. 그리어슨은 북부 지역에 더 많은 선교 지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이에 따라 캐나다 장로교회는 1912년 회령과 1913년 용정에 추가 지부를 설립하도록 했다.[10][6]
4. 3.1 운동 참여
1919년 3·1 운동 당시, 그리슨은 성진 지역 만세 시위를 지원하고 부상자들을 치료했다. 그는 "일본 소방관 부대가 소방 도끼를 들고, 경찰은 소총을 들고 ... 구타하고, 찍어 누르고, 쏘았다. 곧 부상자들이 병원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17]라고 기록했다. 또한 대한 독립 선언서를 인쇄하고 배포하는 데 관여하여 일본 경찰의 조사를 받았다.[18]
4. 1. 3.1 운동에서의 역할
1919년 2월 중순, 함흥을 중심으로 한 학생 단체들은 만세 시위를 계획하기 시작했다.[15] 그리슨은 자신의 집이 외국인이 거주하여 일본 경찰의 급작스러운 수색 가능성이 적다는 점을 이용하여, 지역 독립 지도자들이 자신의 집에서 비밀 회의를 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16]3월 10일, 제동병원 앞에서 천 명의 시위대가 참여한 성진 만세 시위가 거행되었다. 독립 지도자들은 대한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행진을 시작했다. 3월 11일, 일본군은 기병대와 소방대를 성진으로 파견하여 시위를 진압하기 시작했다.
그리슨은 제동병원에서 부상당한 한국 시위자들을 치료했다. 제동병원은 그리슨 소유였기에 치외법권이 적용되었고, 따라서 일본 경찰은 치료에 간섭할 수 없었다.[11]
이후 그리슨은 대한 독립 선언서 3만 부를 인쇄하는 등 성진 만세 시위에 적극적으로 돕고 참여한 혐의로 일본 경찰의 조사를 받았다.[18]
4. 2. 일본 당국과의 갈등
1919년 2월 중순, 함흥을 중심으로 한 학생 단체들은 만세 시위를 계획하기 시작했다.[15] 그리슨은 일본 경찰이 외국인의 집을 갑자기 수색할 가능성이 적었기 때문에, 지역 독립 지도자들이 비밀 회의를 위해 자신의 집을 사용하도록 허락했다.[16] 3월 9일, 그리슨은 용정교회의 종탑에 올라 일본 경찰에 의해 투옥된 한국 시위자들을 격려하기 위해 종을 울렸다.[15] 3월 10일, 천 명의 시위대가 참여한 성진 만세 시위가 제동병원 앞에서 거행되었다. 독립 지도자들은 대한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행진을 시작했다. 일본군은 기병대와 소방대를 성진으로 파견하여 3월 11일 시위를 진압하기 시작했다.그리슨은 제동병원에서 부상당한 한국 시위자들을 치료했다. 제동병원은 그리슨 소유였기에 치외법권이 적용되었고, 따라서 일본 경찰은 치료에 간섭할 수 없었다.[11]
그리슨은 이후 대한 독립 선언서 3만 부를 인쇄하는 등 성진 만세 시위에 적극적으로 돕고 참여한 혐의로 일본 경찰의 조사를 받았다.[18]
5. 유산
그리슨이 성진 지역에 설립한 교회, 학교, 병원은 지역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보신학교 출신들은 성진 지역 독립운동의 주역으로 활동했다.[11][19][20] 1968년, 한국 독립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5. 1. 한국 근현대사에 끼친 영향
로버트 그리어슨은 만세 시위를 계획하는 한국 학생 단체들을 지원했으며, 자신의 집을 비밀 회의 장소로 제공했다. 이는 일본 경찰이 외국인의 집을 수색할 가능성이 적었기 때문이다.[16] 1919년 3월 9일, 그는 용정교회 종탑에서 종을 울려 일본 경찰에 투옥된 한국 시위자들을 격려했다.[15]3월 10일, 제동병원 앞에서 천 명의 시위대가 참여한 성진 만세 시위가 열렸고, 독립 지도자들은 대한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행진했다. 3월 11일, 일본군은 기병대와 소방대를 파견하여 시위를 진압했다. 그리어슨은 제동병원에서 부상당한 한국 시위자들을 치료했는데, 제동병원은 그리어슨 소유였기 때문에 치외법권이 적용되어 일본 경찰은 치료를 방해할 수 없었다.[11]
그리어슨은 대한 독립 선언서 3만 부를 인쇄하는 등 성진 만세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일본 경찰의 조사를 받았다.[18]
용정 교회와 보신 소학교는 성진 지역의 한국인들을 교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용정 교회 신도들과 보신 소학교 교사 및 학생들은 성진 만세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9][20] 성진 지역에는 "교회, 학교, 병원의 삼각지대"가 형성되었는데, 이는 근대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지역 사회 지도자와 선교사가 되었기 때문이다.[11]
1968년, 그리어슨은 한국 독립 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참조
[1]
문서
Ancestry Library Edition
2023-04
[2]
웹사이트
Robert and Mary Grierson fonds - 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
https://catalogue.un[...]
2021-12-25
[3]
웹사이트
Grierson, Robert, 1868-1965 - 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
https://catalogue.un[...]
2021-12-25
[4]
서적
A Corn of Wheat: Or, the life of Rev W. J. McKenzie of Korea
[5]
서적
Enduring witness : a hi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Canada
[6]
간행물
"Minister of the gospel and doctor of medicine": Dr. Robert Grierson physician missionary to Korea, 1898-1913
https://pubmed.ncbi.[...]
2001
[7]
서적
The impact of Canadian missionaries in Korea : a historical survey of early Canadian mission work, 1888-1898.
https://www.worldcat[...]
[8]
서적
Diary of Reverend Robert Grierson MD: Missionary to Korea ; July 16 1898 to March 25 1901
[9]
서적
The cross and the rising sun The Canadian Protestant missionary movement in the Japanese empire, 1872-1931
https://www.worldcat[...]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1990
[10]
서적
Hanbando e simgyŏjin pogŭm ŭi ssiat : Han'guk e on widaehan sŏn'gyosa 50-in
https://www.worldcat[...]
2014
[11]
간행물
Missionary Medicine of Canadian Presbytery and Korean Doctors under Japanese Occupation - focusing Sung-jin and Ham-heung
[12]
문서
Appendix No.6, Report of the Foreign Mission Committee (FMC) on Korea, 97, The Acts and Proceeding of the 22nd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Canada 1912.
[13]
간행물
Dispatches from the Wilderness: A History of the Canadian Missionaries and Korean Protestants in Northern Korea and Manchuria, 1893 - 1928
https://prism.ucalga[...]
2018-09-12
[14]
서적
토박이 신앙산맥 2: 한국 기독교회의 '사도행전'
홍성사
[15]
웹사이트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https://www.visionfe[...]
2022-01-01
[16]
웹사이트
구례선 목사 사택서 시작된 '독립열망'… 日帝 도끼-총으로 탄압
https://www.donga.co[...]
2022-01-01
[17]
문서
Episodes on a Long, Long, Trail
[18]
웹사이트
리동휘 손정도 구례선, 독립운동 이끈 '통합의 리더십' 잊지 말아야
http://news.kmib.co.[...]
2022-01-01
[19]
웹사이트
보신학교(普信學校)
http://encykorea.aks[...]
2022-01-01
[20]
웹사이트
용정중앙교회(龍井中央敎會)
http://encykorea.aks[...]
2022-01-01
[21]
웹인용
Ancestry Library Edition
https://ancestrylibr[...]
2021-12-24
[22]
웹인용
Robert and Mary Grierson fonds - 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
https://catalogue.un[...]
2021-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